목차
아이가 태어나면 엄마뿐만 아니라 아빠(배우자)도 함께해야 하는 순간들이 많죠.
그런데 "배우자도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"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출산 후 며칠 쉬어야 할지 고민하는 예비 아빠들, 회사에 눈치 보느라 고민하는 직장인들, 이제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!
이번 글에서는 배우자 출산휴가가 뭔지, 얼마나 쓸 수 있는지,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, 신청 방법까지
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. 출산 후 정신없이 바쁘기 전에, 이 글을 미리 읽어두세요!
배우자 출산휴가는 아내가 출산하면 남편(배우자)이 일정 기간 휴가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된 법적 제도입니다.
✔ 출산 직후 배우자가 함께할 수 있도록 보장된 휴가
✔ 최대 10일까지 사용할 수 있음
✔ 유급 휴가 보장 (일부 기간은 무급일 수도 있음)
즉, 아내의 출산을 돕고, 신생아와 함께할 시간을 주는 법적 권리!
고용보험에서 일부 급여를 지원해 주므로, 회사 눈치 보지 말고 꼭 챙기세요.
✔ 최대 10일 사용 가능 (2020년부터 확대 적용)
✔ 5일은 유급 + 5일은 무급 (단, 회사마다 다를 수 있음)
✔ 출산 후 90일 이내에 사용해야 함
✔ 한 번에 다 쓰거나, 나눠서(분할 사용) 사용 가능
📌 중요 포인트
💡 예를 들어?
👉 출산일이 3월 1일이라면? → 5월 30일까지 신청 가능
👉 회사 규정에 따라 10일 전부 유급일 수도 있고, 5일만 유급일 수도 있음
✔ 유급 기간(최소 5일)은 회사에서 급여 지급
✔ 무급 기간(최대 5일)은 고용보험에서 지원금 지급 가능
📌 무급 기간 급여 지급 기준 (고용보험 지원금)
📌 급여 지급 방식
💡 쉽게 말하면?
👉 첫 5일은 회사에서 월급을 그대로 주고, 나머지 5일은 고용보험에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음!
✅ 1단계: 회사에 휴가 신청
✔ 출산 전후로 미리 휴가 사용 계획을 회사에 전달
✔ 인사팀 또는 담당자에게 출산휴가 신청서 제출
✔ 회사 규정에 따라 필요한 추가 서류 확인
✅ 2단계: 무급 기간 급여 신청 (고용보험 신청)
✔ 유급 휴가 후 무급 기간(최대 5일)에 대한 급여를 신청
✔ 신청 방법: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관할 고용센터 방문 접수
📌 필요 서류
✔ 배우자 출산휴가 확인서 (회사 발급)
✔ 급여 지급 신청서 (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)
✔ 배우자(아내)의 출산 증빙 서류 (출생증명서, 가족관계증명서 등)
✔ 본인 명의 통장 사본
📌 신청 기한
💡 꿀팁!
👉 회사마다 신청 방식이 다를 수 있으니, 인사팀에 미리 문의 필수!
👉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니,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OK!
📌 출산 후 90일 이내에 꼭 사용해야 한다!
✔ 출산 후 90일이 지나면 사용 불가 (소멸됨)
📌 회사 규정 확인 필수!
✔ 법적으로 5일 유급 보장되지만, 회사마다 10일 전부 유급인 경우도 있음
📌 무급 기간 급여 신청 놓치면 못 받는다!
✔ 휴가 사용 후 1년 이내에 신청해야 고용보험에서 지원금 지급
📌 입사한 지 얼마 안 돼도 사용 가능!
✔ 근속 기간과 관계없이 출산하면 바로 신청 가능
📌 근로계약이 없는 프리랜서는 해당 없음
✔ 정규직, 계약직, 일용직 근로자만 신청 가능
💡 쉽게 말하면?
👉 출산 후 3개월 안에 신청해야 하고, 회사 규정도 꼭 확인해야 함!
1. 출산 전에도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할 수 있나요?
✅ 출산 후 90일 이내에만 사용 가능
2. 회사가 휴가를 안 주려고 하면 어떻게 하나요?
✅ 배우자 출산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!
✔ 회사가 거부하면 고용노동부에 신고 가능
Q3. 맞벌이 부부도 받을 수 있나요?
✅ 아빠, 엄마 모두 각자의 직장에서 출산휴가 사용 가능
4. 중도 퇴사하면 급여 신청 못 하나요?
✅ 무급 기간 사용 후 퇴사했다면 급여 신청 가능!
❌ 하지만 휴가 중 퇴사하면 해당 없음
5. 중소기업도 배우자 출산휴가 보장되나요?
✅ 모든 사업장에 적용됨
✔ 대기업, 중소기업, 공무원, 계약직 모두 가능
📌 한눈에 보는 배우자 출산휴가 요약
✔ 최대 10일 사용 가능 (5일 유급 + 5일 무급)
✔ 출산 후 90일 이내 사용 필수
✔ 무급 기간은 고용보험에서 급여 지원 (최대 41만 원)
✔ 회사에서 거부하면 신고 가능 (법적 권리임)
출산 후 아내 혼자 모든 걸 감당해야 하는 게 아닙니다. 배우자 출산휴가를 적극 활용해서 함께하세요!
👉 지금 바로 회사에 신청하고,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급여도 챙기세요!
<< 함께 보면 좋은 글 >>
2025년 육아휴직 수당,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요? 총정리! - 경제 금융
2025년부터는 육아휴직 수당이 기존보다 훨씬 강화되었습니다.
money.good-informer.com
2025년 육아휴직 급여 계산법 인상 내용 사후지급금 폐지 소급 적용 안내 - 굿정보
특히 2025년에는 육아휴직 급여가 대폭 인상되고, 제도적인 변화도 많아졌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육아휴직 급여의 대상, 계산 방법, 인상된 금액, 사후지급금 폐지, 소급 적용 여부까지 자
good-informer.com
조부모돌봄수당 소개 신청방법, 지방에 계신 부모님도 가능합니다. - 굿정보
혹시 주변에 손주를 돌보고 계신 부모님이 계신가요? 아니면 직접 부모님께 아이를 맡기고 계신 맞벌이 부부시라면, 조부모돌봄수당에 대한 내용이니 이 글을 주목해 주세요!
good-informer.com